라일리 앤더슨

최근 편집일시 : (♥ 0)

인사이드 아웃 시리즈 등장인물
라일리 앤더슨
萊莉·安德森 | Riley Andersen
▲ 13세 당시 모습[1]
[ 11 ~ 12세 당시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라일리 앤더슨 인사이드 아웃 이미지 2.png
▲ 11 ~ 12세 당시 모습[1]

본명라일리 엘파바 앤더슨
Riley Elphaba Andersen
[2]
이명Monkey
원숭이[3]
Michigan Girl
미시간 소녀[4]
성별여성
출생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거주지
[ 펼치기 · 접기 ]
나이11세~12세 (1편 시점)
13세 (2편 시점)[5]
[ 펼치기 · 접기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인종백인
머리카락더티 블론드(dirty-blonde)
수레국화-벽안(cornflower-blue)
학력미국 중학교
소속중학교 아이스하키 팀
직업중학생, 아이스하키 선수
좋아하는 것미네소타, 아이스하키, 단짝친구 멕, 엄마 질, 아빠 빌,
절친 그레이스와 브리, 발렌티나
싫어하는 것엄마 아빠가 엄연히 남사친인 조던을 남친으로 생각하는 것,
불행, 왕따당하는 것, 브로콜리[1]
가족앤더슨 가문아버지 : 빌 앤더슨
어머니 : 질 앤더슨
성우파일:미국 국기.svg케이틀린 디아스[2] (1편)
메리 깁스 (아기 시절)[3]
켄싱턴 톨먼[4] (2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미랑 (1편)
안소명 (2편)
파일:대만 국기.svg夏乙田(샤이톈)[5]
파일:일본 국기.svg이주인 마이 (1편)
요코미조 나호 (2편)

[1] 이래서인지 작중에서 까칠이가 브로콜리를 보자마자 제어판을 눌렀다.[2] Kaitlyn Dias. 1999년생 배우로 1편 개봉 당시 15세였다.[3] 어린 라일리가 짜증을 부린 장면에 쓰인 비명은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부가 내지른 소리를 그대로 활용한 것이어서 부를 연기했던 메리 깁스도 연기자 목록에 올라와 있다.[4] Kensington Tallman. 2008년생 배우로 2편 개봉 당시 15세이다.[5] 실제 발음은 "시아이티엔" 에 가깝다. 주음부호는 ㄒㄧㄚˋ ㄧˇ ㄊㄧㄢˊ

1. 개요
2. 특징
2.1. 이름
2.2. 성격
3. 작중 행적
4. 여담



1. 개요[편집]


인사이드 아웃서브 주인공[6]이자 중심 인물 혹은 배경.[7]

인사이드 아웃의 주인공인 감정들의 주인이다. 아이스하키를 좋아하는 금갈색 머리의 예쁘고 활달한 소녀이며, 감정의 리더는 기쁨이다.


2. 특징[편집]



2.1. 이름[편집]


라일리 앤더슨의 성 "앤더슨"은 픽사의 직원 달라 K. 앤더슨(Darla K. Anderson)과 토이 스토리 등장인물 보니 앤더슨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하며, 미들네임 엘파바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의 주인공 '엘파바'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성씨의 철자를 자세히 보면 Anderson이 아니라 Andersen이라는 걸 알 수가 있는데, 같은 성씨를 가진 덴마크 출신의 동화 작가가 있는 데다가 -sen 어미를 가진 성씨는 대개 북유럽계이기 때문에 라일리가 덴마크계 미국인일 것이라는 가설도 있다. 사실 라일리가 자라왔던 미네소타 주에 북유럽계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한 것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대만 중국어판은 萊莉·安德森(라일리안더쓴)으로 번역됐다.


2.2. 성격[편집]


모티브는 피트 닥터 감독의 딸인 엘리. 《》에서 어린 엘리의 목소리를 담당한 바가 있다. 실제로, 어릴 적의 엘리는 활달하고 어리광도 많았는데 11살 이후부터는 내성적이고 조용해졌다고 한다. 연구 결과, 실제로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빈도와 그 강도가 11살 전후로 급격히 감소한다고 한다. 11살이라서 그런지 성격들도 그에 따라 굉장히 미성숙한 모습을 보여준다.

"활달하고 어리광도 많은 성격"은 1편 초반의 라일리[8]에 모티브를 주었고,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은 2편의 라일리[9]에 모티브를 준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활달하고 엉뚱하며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1편에서는 부모님의 지갑에서 돈을 훔치고 가출을 시도했으며 2편에서는 학교와 감독실에 무단침입하고 감독 노트를 몰래 읽는 등 일견 충동적인 면모도 보인다.

3. 작중 행적[편집]



3.1. 인사이드 아웃[편집]


파일:external/pixar-planet.fr/riley-personnage-vice-versa-05.jpg
고향인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좋은 집과 좋은 부모님, 그리고 절친 메그와 하키 팀 동료들에 둘러싸여 부족할 것 없는 행복한 일상을 보내지만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로 이사를 오면서부터[10] 생활이 점점 꼬이게 된다.

이, 이런 얘기 듣고 싶지 않으시겠지만. 집이 그리워요. 미네소타가 그리워요.(한국어 더빙)

I... I know you don't want me to. But... I miss home. I miss Minnesota.(영어판)

성격 섬으로는 엉뚱 섬, 정직 섬, 가족 섬, 우정 섬, 하키 섬을 두고 있는데 이에 맞추어 가족과 친구를 매우 사랑하며 하키를 좋아하는 평범한 여자아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엉뚱 섬을 제일 좋아하는 기쁨이의 영향으로 엉뚱한 장난을 좋아하는 발랄한 면도 있는데, 가장 많이 하는 장난은 부모님과 함께 하는 원숭이 흉내로 라일리의 아빠가 애칭 삼아 원숭이라고 부르거나 화해하려고 분위기를 풀 때 이 장난을 걸었다.

작중 나이가 사춘기로 넘어가는 과도기라서[11] 가상의 남자친구에 대한 기억 구조물이 새로 생긴 걸로 보면 이성에 대한 관심이 생기는 중인 듯 하다.[12] 영화가 끝날 무렵에는 12살이 되며 핵심 기억의 감정도 보다 복합적으로 변해서 성격 섬들이 매우 다채로워졌는데, 패션 섬이나 뱀파이어 로맨스 소설 섬[13], 아이돌 섬[14] 등이 생긴 걸로 보아 그 나이대의 여자아이다운 취향을 선호하게 된다.

2차 창작에서는 영화처럼 감정들의 배경으로 나오지만 감정들과 만나서 나오기도 한다.[15]

잘 보면 왼손잡이에서 오른손잡이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작중 하키채를 잡을 때 유아 시절과 비교하면 볼 수 있다.

영화에서 사용되지 않은 장면에서 보면 그다지 학업에 성실한 학생은 아닌 듯 하다. 스페인어 시간으로 추정되는 수업 시간에 선생님 말씀은 안 듣고 노트에 하키 그림을 그리면서 딴짓을 하다가 선생님이 갑자기 라일리를 지목해서 질문에 대답을 시키는데, 이때의 반응을 보면 딴짓을 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그 시간이 스페인어 시간인지도 모르고 있다.

여기서는 두 가지 결말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그냥 "아까 했던 그 문제랑 비슷한 답 아닐까요?" 라고 얼버무리자마자 수업 종이 치고 어찌어찌 넘어가는 것. 두 번째는 기쁨이가 "보통 C로 하면 정답이잖아" 라는 아이디어를 내서 C라고 말하는데 선생님은 그 말을 Sí(스페인어로 긍정의 뜻)로 받아 스페인어로 뭐라뭐라 말하기 시작하는 결말이다.[16]


3.2. 인사이드 아웃 2[편집]


파일:라일린 인아 2.jpg
인사이드 아웃 2에서는 전작으로부터 2년이 지나 13살 정도로 나온다. 그래서인지 키도 많이 컸고 머리도 길렀는지 헤어스타일도 중단발에서 포니테일로 바꼈으며 교정기를 착용했다.

고등학교 입학 준비를 하면서, 새 아이스 하키 팀에 들어가는 과정에서 불안과 부러움, 따분함과 당황 등의 사춘기 감정들을 배우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성격섬에서 가장 큰 변화가 생긴 섬은 가족섬인데 1편에는 다른 섬들 처럼 비슷한 크기였으나 2편에서는 다른 섬들과 다르게 아주 초라하고 작은 모습으로 나온다. [17]

라일리:으어어어어

질 앤더슨: 아직 짐 안 쌌니?

(자다 일어나 겨드랑이 냄새를 맡는 라일리)

라일리: 나 너무 역겨워서 캠프나 아무데도 평생 못 나가! [18]

난 최악이야! (오열)

질 앤더슨의 버럭이: 향후 10년의 예고편이네.[19]

이 과정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기도 하지만, 기존의 친구들과 멀어지면서 갈등을 빚는다.[20]

불안이의 폭주로 인해 기존의 절친들을 멀리하고 발렌티나와 발렌티나의 친구들과 어울리려고 하며 점차 어긋나기 시작한다. 결국 코치 로버츠에게 인정 받지 못 할 거란 걱정에 무단으로 하키팀 감독의 노트를 훔쳐보기도 하지만 슬픔이를 통해 반성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21]


4. 여담[편집]


라일리 앤더슨의 고향 미네소타 주는 감독 피트 닥터의 고향이다.

라일리가 다시 돌아가고 싶은 고향으로 미네소타 주가 자주 언급되며, 1편에서 라일리가 샌프란시스코를 떠나려 하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감정들의 성별이 다르다는 이유로 양성애자임을 암시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제작진이 이는 작품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함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힘으로써 폐기되었다. 다른 캐릭터들도 보면 그냥 애매하거나 뒤섞인 경우도 있고 개그를 위해서인지 다 비슷하게 생긴 경우도 있다.[22]

작중 노란색 계열의 옷을 입은 모습이 많이 나오는데[23], 이 때문인지 라일리가 성인이 되면 빅 히어로허니레몬과 비슷한 외모가 될 것이라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만 2편 시점 라일리의 취향이 바뀌었는지 파란색 계열의 옷을 자주 입고 있다.

광대공포증이 있는 듯하다. 라일리가 싫어하는 게 있는 공간에 광대가 있고 꿈에서 광대가 나오니 깨어났다.[24]

[1] 인사이드 아웃 2 디자인.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시작하는 사춘기의 특징을 반영해 뺨과 턱 주변에 여드름 자국이 생겼다.[2] <인사이드 아웃: 에센셜 가이드> 6쪽 참고.[3] 라일리의 부모님이 자주 부르는 별명이다.[4] 고향은 미시간이 아닌 미네소타지만 별명은 미시간 소녀인데, 2편에서 발렌티나의 일행에게 자신의 고향을 미시간으로 잘못 말하면서 생긴 별명이다. 이후 엔딩 장면에선 제대로 미네소타로 불러준다.[5] 인사이드 아웃 시작점 기준 11세이며, 후반에 후일담 형식으로 12세가 된다. 인사이드 아웃 2에서는 13세다.[6] 어떤 사람들은 기쁨이가 아니라 라일리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 이 영화의 진정한 주인공은 라일리가 아닌 기쁨이며, 라일리는 비중이 두번째로 많은 걸로 보아 라일리는 서브 주인공이라고 볼 수 있다.[7] 엄연히 주역 포지션이긴 하지만 주체적인 역할은 보통 내부의 감정들이 담당해서 사실상 본체인 라일리는 감정들에 의해 움직이는 수동적인 존재 + 배경화된 것. 이 동네 특성상 다른 사람들이나 동물들도 다 마찬가지다.[8] 샌프란시스코에 막 도착한 시점의 라일리[9] 아이스하키 팀에 들어가면서 사춘기의 감정들을 배운 라일리[10] 미니애폴리스에서 꼬박 하루를 넘게 운전해야 샌프란시스코로 갈 수 있다. 거리도 거리지만 미네소타와 샌프란시스코의 생활환경은 정말 천지차이다. 미네소타는 광활한 영토에 비교적 작은 인구가 거주하는지라 인구밀도도 낮고, 중서부 지역 사람들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의 사람이 많은데다가, 백인들 비중이 높은 지역이라 지역공동체 성격이 강하다. (일반화할수는 없지만) 비교적 이웃들간의 교류도 활발한 편. 샌프란시스코는 정반대다. 높은 인구밀도에 비싼 생활비, 세계 각 지역에서 몰려든 다양한 인종들로 미국에서 가장 큰 차이나타운 중 하나가 위치해있고 다양한 직업, 계층의 사람들이 바글거리는데다가, 대도시라 이웃들끼리 교류도 많지 않으며, 삶에 여유가 없다. 시트콤에서야 뉴욕 한복판의 아파트에서도 문을 안 잠그고 다니고, 이사 오면 옆집 아줌마가 "이사 오셨나봐용?♡"하면서 쿠키를 들고 나타나지만 이런 이웃은 교외지역에서나 볼 수 있다. 교외지역도 이웃간 교류가 예전만 못하다. 미네소타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이사왔다면 다른 무엇보다 도시인들의 삭막함에 정이 떨어질 것이다. 기후에도 큰 차이가 있다. 미네소타 주는 추위로 유명한 지방인 반면, 샌프란시스코의 경우 따뜻한 지역이다. 위의 사진에서 그를 잘 알 수 있는데 다른 아이들은 반팔 옷까지 입고 있는 반면 라일리는 점퍼를 입고 있다.[11] 11세. 만 나이를 안 쓰는 한국 나이로 치면 12세. 사춘기 초반에 해당하는 시기다. 2015년 개봉 당시 2004년생이다.[12] 그 외에도 라일리의 까칠이 등교할 때 인사하는 부모님의 관심을 귀찮아하는 반응을 보이며 까탈스럽게 나가는데, 이 역시 사춘기와 사춘기로 가는 과도기 아이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유아~아동 때는 부모의 관심을 갈망하지만 사춘기에 가까워지거나 아예 사춘기에 접어들면 그걸 귀찮아하고 꺼리게 되는 게 자연스러운 반응이 되기 때문.[13] 트와일라잇 시리즈로 추정된다.[14] 근데 이건 곧 무너질 것 같다고 한다.[15] 재미있는 점은 The Art of Inside Out에 의하면 제작 초기에 고려되었던 스토리 중 하나가 라일리가 직접 자기 마음 속으로 들어가 감정들과 만난다는 것이었다.[16] 이 결말이 구글 스토어에서 구매한 영화 마지막에 딸린 자막판에서는 스페인어에 대한 주석을 달기 어려워서인지, 5번으로 선택했는데 선생님이 O로 알아듣고 잘 했다고 하고 이에 기쁨이가 이거 OX 문제였냐고 하는 나름 적절한 번역을 거치게 되었다.[17] 이는 청소년기에 부모로부터 독립하기 시작하고 또래집단의 중요성이 커지는 것을 묘사한 것이라 볼 수 있다.[18] 이 다음 부분은 영어 원본 예고편에서만 나온다.[19] 본편에서는 감정들 중 버럭이 이 대사가 나오기 전에 "언젠가 이런 일이 벌어질 줄 알았잖아"라고 속으로 독백한다. 늘 얘기한 대로 태연한 척 하냐며 합의한다.[20] 사실 두 친구들이 자기하고 다른 학교에 갈 거라고 고백 하면서 이에 대해 속으로 소외될 걸 염려했던 것. 처음에는 기쁨의 의도대로 억지로 긍정적인 감정을 끌어내려고 하지만 결국 불안이 제어판의 주도권을 잡게 된다.[21] 하지만, 결국 슬픔이 불안에게 걸리면서 노트를 보게 되고 이내 자신에 대해 좋지 않은 평가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Not ready.)"가 적힌 걸 보고 하키를 더 잘 해야 한다는 불안이 도져 아예 부정적인 자아가 생겨버려 "난 왜 이 모양이지.(I am not good enough.)"라고 반복적으로 읊조린다. 이는 결국 팀원들을 무시하고 골을 독식 하려는 독선으로 이어진다. 결국 친구들을 상처 입히고, 코치에게 퇴장 조치를 당해 공황 발작까지 겪지만, 무사히 안정을 되찾는다.[22] 자세히 보면 라일리가 이성애자임을 암시하는 장면들이 있다. 일단 1편에서 상상의 남자친구는 아직 어린애라 이성애가 아닌 막연한 동경이라고 쳐도, 어느 정도 성장한 시점인 2편의 상상나라에 보면 '크러쉬모어 산 Mount Crushmore. (Crush는 누군가를 연애적으로 일방적으로 좋아하는 감정을 뜻한다. 이 Crush는 실존 인물과 가상 인물을 구분하지 않고 존재할 수 있다.)'에서 라일리가 crush가 있었던 4명의 얼굴이 조각되어있는데 다 남자이다.[23] 공교롭게도 기쁨의 이미지 컬러와 같은 색이다. 그리고 가출을 할 때는 상하의가 모두 검은색인데 이것 역시 어떤 감정도 느끼지 못 하는 상태에 어울리는 색이라 할 수 있다.[24] 기쁨이와 슬픔이가 본부로 돌아가기 위해 라일리의 꿈에서 광대가 나오게 하였다. 라일리가 잠 들면 본부로 못 가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인사이드 아웃/등장인물 문서의 r9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인사이드 아웃/등장인물 문서의 r9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1:50:46에 나무위키 라일리 앤더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